문화유산경관연구실/국가유산 현상변경 허가 심의
수원 축만제 및 여기산선사유적지 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지식
2021. 7. 20. 09:44
■ 문화재 현상변경허용기준 고시도면
(경기도 고시 제2020-239호 2020.12.04.)
■ 문화재 개요
■ 수원축만제(水原祝萬提)
▪ 조선후기 화성의 서쪽 여기산 아래 축조한 저수지로 1799년(정조 23) 수원성을 쌓을 때 일련의 사업으로 내탕금 3만 냥을 들여 축조하였음.
▪ 축만제는 천년만년 만석의 생산을 축원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화성 서쪽에 있어 일명 서호로 불리고 있음.
▪ 축만제의 가치는 세계적으로도 인정 받아 2016년 11월 ICID(국제관개배수위원회)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으로 등재되었음.
종목 | 경기도 기념물 제200호 |
분류 |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 농업 / 관개시설 |
수량 / 면적 | 일원 |
지정일 | 2005. 10. 17. |
소재지 |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436-1 외 |
시대 | 조선 / 조선후기 |
■ 수원여기산선사유적지(水原麗妓山先史遺蹟址)
▪ 여기산(麗妓山)은 농촌진흥청 구내에 있는 해발 104.8m의 산으로 서호 서쪽의 구릉에 위치함.
▪ 1979~1984년까지 유적의 일부를 발굴조사하여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의 주거지와 토기 등 중부지방의 대표적인 생활유적이 발굴됨.
▪ 특히 온돌시설의 초기형태라 할 부뚜막이 있는 화덕자리 시설이 확인되었고, 서까래와 볏집 지붕이 조사되어 당시의 가옥구조에 관한 귀중한 자료를 얻게 되었음.
종목 | 경기도 기념물 제201호 |
분류 | 유적건조물 / 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 / 육상유물산포지 / 선사유물 |
수량 / 면적 | 일원 |
지정일 | 2005. 10. 17. |
소재지 |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256-1 외 |
시대 | 청동기시대 / 삼국시대 |
■ 문화재 현황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