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경관연구실/국가유산 현상변경 허가 심의

사적 서울 청계천유적 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지식 2024. 1. 29. 14:04

 

■ 문화재 현상변경허용기준 고시도면

(관보 고시 2008.6.17)

광통교지

 

수표교지

 

오간수문지

 

■ 문화재 개요

종목 사적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교통/ 교량
수량 / 면적 113,103.
지정일 2005.03.25
소재지 서울 종로구 관철동 270-1번지외 중구 남대문로 9
시대 조선시대

 청계천은 개천(인공적으로 물길을 만든 하천)으로서, 도성을 둘러싼 목멱산, 인왕산, 북악산, 낙산 등에서 발원하여 도성 중심부를 서에서 동으로 흘러 중랑천에서 합류하며, 그 길이는 11Km에 달함.
청계천에는 모전교, 광통교, 장통교, 수표교, 하랑교, 효경교, 마전교, 오간수문, 영도교 등 많은 다리와 수문이 설치되었으며 그 변화상은 도성의 변화와 궤를 같이하였고, 영조 38(1762)에 증축됨.

 

 수표교는 세종 2(1420)에 마전교라는 이름으로 축조되어 세종 23(1441)에 서편 상류에 인접하여 박석을 깔고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수표를 세운 이후 수표교라 이름 하였음.

▪ 광통교는 조선초 건설 당시에는 토교였다가 태종 10(1410)에 석교(石橋)로 놓이게 되었으며, 이때 신덕왕후 강씨의 릉인 정릉의 석물을 이용하였다고 전함.

 

 

 

■ 문화재 현황사진

 

수표교 사진

 

수표교지 주변 현황

 

 

 

 

광통교 사진

 

 

 

 

오간수문지 주변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