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 현상변경허용기준 고시도면
(2017.01.19)
■ 문화재 개요
종목 | 사적 제202호 |
명칭 | 김포 장릉 (金浦 章陵) |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522,297㎡ |
지정일 | 1970.05.26 |
소재지 | 경기 김포시 장릉로 79 (풍무동) |
시대 | 조선 인조 5년(1628) |
관리자 | 문화재청 조선왕릉관리소 서부지구관리소 |
■조선 원종(元宗, 추존)과 동비 인헌왕후(仁獻王后, 추존) 구씨(具氏)의 능으로 원종 (선조 13년; 1580-광해군 11년; 1619)은 선조(宣祖)의 다섯째 아들로 인조(仁祖)의 아버지이다. 선조 20년(1587) 정원군(定遠君)에 봉해지고 인조반정 후 대원군에 추존 되었고 1627년 조종 신하들의 논란 끝에 왕으로 추존되었다.
■인헌왕후(仁獻王后)는 릉안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의 딸로 13세에 가례(嘉禮)하여 연주군부인(連珠君夫人)으로 봉해지고 인조반정 후 부부인(府夫人)으로 진봉되었다가 원종(元宗)과 함께 왕후로 추봉되었다.
■원종의 능은 처음에 양주 곡촌리에 있던 것을 인조(仁祖) 5년(1627) 김포에 개장하여 흥경원(興慶園)이라 하였고 인조(仁祖) 10년(1632) 봉릉(封陵)하여 장릉(章陵)이라 하였다. 왕과 비릉을 나란히 두어 쌍릉을 이루었으며 병풍석이나 난간석은 설치하지 않고 보호석만 둘렀다. 능 앞에 각각 혼유석 1좌씩을 두었고 중간에 장명등을 세우고 있으며 좌우에 문무석 1쌍씩과 망주석 1개씩, 석수 2개씩을 세웠고 능 아래로 낮게 호석을 둘렀다. 능역은 156, 379평이며 역 내에 정자각(26.16평), 비각(2 .39평), 제실(49.63평), 수복방(3.4평), 홍전문이 있다.
■ 문화재 현황사진
'문화유산경관연구실 > 국가유산 현상변경 허가 심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양주 동관댁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0) | 2022.01.12 |
---|---|
공주신관리석실고분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0) | 2022.01.12 |
수원 축만제 및 여기산선사유적지 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0) | 2021.07.20 |
남양주시 청풍김씨문의공파묘역 주변 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0) | 2021.07.20 |
안산시 팔곡리향나무 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0) | 2021.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