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 현상변경허용기준 고시도면
(문화재청 고시 제2016-139호)
■ 문화재 개요
종목 | 사적 |
분류 | 유적건조물/교통통신/근대교통·통신시설/철도 |
면적 | 2,964㎡ |
지정일 | 1981 09.25 |
소재지 | 서울 중구 청파로 426(봉래동 2가) |
시대 | 일제강점기 |
대상지와 거리 | 0m |
▪ 이 건물은 1922년 착공되어 1925년에 경성역사로 준공된 철도역사 건물로, 광복 후 1947년에 서울역이 됨.
▪ 일제 강점기 당시 물자와 인력수급 등 전쟁 물자 공급을 위한 기본 운송수단으로서 역할을 위해 일본이 지은 역사 건물로, 중국 대륙침략의 발판으로서 일본이 자행했던 한국 침탈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음.
▪ 지하1층, 지상2층의 석재 혼합 벽돌조 역사 건물로 일본인이 설계하였으며, 서울의 중심 철도 시설로서 그 역할을 하여 오다가, 2003년 통합민자역사로 역무 기능이 이관되면서 더이상 역사로서 쓰이지 않게 되어, 복원을 거쳐 현재 복합 문화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음.
▪ 1층은 르네상스 궁전건축 기법으로 처리하고, 1층 윗부분과 2층은 붉은 벽돌로 쌓고, 부분적으로 화강석을 장식하여 마감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철도 건물이라는 점에서 건축사적 가치가 있음.
■ 문화재 현황사진
문화재 사진
문화재 주변 현황
'문화유산경관연구실 > 국가유산 현상변경 허가 심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적 덕수궁 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1) | 2024.01.29 |
---|---|
국보 서울 숭례문 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1) | 2024.01.29 |
사적 제314호 광주조선백자도요지(도척면 궁평리)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0) | 2022.08.18 |
청풍김씨문의공파묘역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0) | 2022.04.12 |
화성 융건릉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0) | 2022.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