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산경관연구실/국가유산 현상변경 허가 심의

사적 서울 흥인지문 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 및 현황

by 지식 2024. 1. 29.

 

■ 문화재 현상변경허용기준 고시도면

(문화재청 고시 제2021-143)

 

 

■ 문화재 개요

종목 보물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 성곽시설
수량 / 면적 1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 종로구 종로 288 (종로6)
시대 조선시대(1869)

서울 성곽은 옛날 중요한 국가시설이 있는 한성부를 보호하기 위해 만든 도성(都城)으로, 흥인지문은 성곽 8개의 문 가운데 동쪽에 있는 문이다. 흔히 동대문이라고도 부르는데, 조선 태조 5(1396) 도성 축조때 건립되었으나 단종 원년(1453)에 고쳐 지었고, 지금 있는 문은 고종 6(1869)에 새로 지음

앞면 5·옆면 2칸 규모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모양을 한 우진각 지붕이다. 조선 후기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또한 바깥쪽으로는 성문을 보호하고 튼튼히 지키기 위하여 반원 모양의 옹성(甕城)을 쌓았는데, 이는 적을 공격하기에 합리적으로 계획된 시설이라 할 수 있다.

 

■ 문화재 현황사진

문화재 사진

 

 

문화재 주변 현황

댓글